전라선 차창 밖에는 섬진강의 인심과 별미가 가득
전라선 차창 밖에는 섬진강의 인심과 별미가 가득
전남 여수 금오도 비렁길 섬과 바다를 이어주는 황홀한 비경을 만나다
전라선은 전북 익산시와 전남 여수시를 이어주는 노선이다.
전북 지방의 산야를 달린 전라선은 전남 땅으로 넘어가면서 압록역과 구례구역으로 들어가기 전 곡성역을 만난다.
10여 년 전만 해도 3, 8일마다 열리는 곡성 5일 장날이면 기차역은 군산쪽 서해안과 여수쪽 남해안의 사람과 물산이 한데 모여 제법 흥청거렸다.
남도와 북도의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도 곡성역에서는 한 가지 화음으로 섞였다.
장이 파할 즈음 국밥 한 그릇과 한 잔 술에 거나해진 아버지들과 나물 팔아 얼마간의 지전을 손에 쥔 어머니들은 다시 곡성역으로 모여들어 전라선에 지친 몸을 실었다.
1999년 새롭게 문을 연 곡성역 출입문 앞에는 ‘곡성역명 유래비’가 세워졌다.
백제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에 따라 곡성군 지명 변천 유래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곡성역 플랫폼으로 들어가는 문 양쪽에는 매표소와 맞이방이 들어서있다.
매표소 앞에 세워진 열차시간표를 보면 곡성역으로 들어오는 첫차는 오전 6시 53분 익산행 무궁화호이고 막차는 새벽 2시 50분 여수행 무궁화호이다.
KTX도 상하행이 하루 2회씩 정차한다. 상행선 출발 시각은 오전 10시 42분, 오후 4시 17분, 하행선 출발 시각은 오전 10시 50분, 오후 10시 27분 (2012년 7월 기준)이다.
안전에만 주의한다면 시원하게 개방된 플랫폼으로 들어가서 전라선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촬영해도 좋다.
한편 운행시간 단축, KTX운행 등을 위해 선로를 곧게 펴는 작업이 이뤄지면서 구 역사는 1999년 자신의 임무를 신 역사에 넘겨줬다.
1933년 지어진 구 곡성역은 이제 섬진강기차마을로 화려하게 변신, 증기기관차에 대한 향수를 가진 관광객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구 곡성역사(등록문화재 제122호)에 가면 작은 안내판 하나가 발길을 멈추게 만든다.
‘이 건물은 섬진강의 모래를 운반하는 기능을 했던 간이역’이었다는 것이다.
금빛으로 반짝거리던 섬진강 모래는 옛날에도 귀한 대접을 받으며 전국으로 실려나갔던 모양이다.
이 역사는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지방 역사 건물의 전형을 보여주기에 드라마 ‘토지’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진주역에서 평사리 청년들이 일본군에 강제 징집되는 장면, 하얼빈역에서 진주역으로 돌아가는 장면 등이 촬영됐다.
또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도 구 곡성역이 등장했다.
진태(장동건 분)가족의 피난길, 진태와 진석(원빈 분)이 국군으로 징집되는 장면, 피난열차 등등 여러 장면을 이곳에서 찍었다.
구 곡성역 옆에 조성됐던 1960∼70년대 풍의 영화세트장은 철거되고 그 자리에는 화석박물관이 들어선다고 한다.
섬진강기차마을의 핵심은 증기기관차 탑승으로 계절, 요일에 따라 하루 3∼5회 가정역까지 10km를 왕복으로 다닌다.
예전의 전라선 철길이 증기기관차의 선로로 활용된다.
하얀 수증기를 내뿜는 기관차 뒤로는 3량의 객차가 매달렸다.
가끔 울리는 기적은 향수를 자극한다. 증기기관차에 몸을 실은 어른들은 가난했지만 꿈은 부자였던 그때 그 시절을 회상하고
어린이들은 아직도 이렇게 느린(시속 30∼40km) 교통수단이 버젓이 굴러다닌다는 사실에 대해 신기해하고 재밌어 한다.
레일바이크는 두 군데에서 탑승할 수 있다. 기차마을 안의 철로만 이용하는 레일바이크는 1.6km를 순환형으로 돈다.
1회 왕복에 20분 정도가 걸린다.
반면 침곡역부터 가정역까지 갈 수 있는 섬진강 레일바이크는 5.1km 거리를 달리며 섬진강을 왼쪽에 끼고 달린다.
30∼40분 정도가 걸린다.
증기기관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레일바이크가 다니므로 안전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