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중앙선 간이역을 찾아서 양평 팔당역에서 간현역까지
옛 중앙선 간이역을 찾아서 양평 팔당역에서 간현역까지
20년도 더 지난 옛날, 청량리에서 출발하는 중앙선 비둘기호에 몸을 싣고 떠난 여행이 생각났다.
기차가 덜컹대며 덕소와 양평을 지나 원주 방면으로 느린 듯 꾸준한 힘으로 달릴 때, 창틀에 턱을 괸 채 열흘쯤 남은 입대일이 좀 천천히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강원도나 동해안에 갈 때면 곧잘 지나는 곳이 구리와 남양주다.
요즘엔 새로 난 길이 많아서 강원도에 이르는 경로가 다양하지만, 옛날에는 춘천이든 원주든 가려면 남양주경찰서 앞 도농삼거리를 거쳐야만 했다.
여기서 원주 쪽으로 방향을 잡고 덕소를 지나 양평까지 가는 국도는 중앙선 철길과 마주보며 함께 달렸다.
때로 나란히 달리거나 엇갈려 지나기도 하면서 객차 안 승객들과 얼굴을 마주치기도 했다.
그런 중앙선 철로가 몇 년간 공사를 거쳐 어느 틈엔가 복선 전철로로 탈바꿈했다. 새 전철로가 놓이면서 옛 중앙선 철로는 구간에 따라 운명이 엇갈렸다.
철로를 걷어낸 뒤 자전거길이 되거나, 레일바이크용으로 쓰임새가 바뀌거나, 또 어느 구간은 아예 흔적조차 없어졌다.
남은 건 철로를 잃고 홀로 선 간이역 몇 개뿐.
덕소를 지나 팔당역 근처에 이르자 길가에 자전거 대여점이 여럿 보인다.
최근 몇 년 사이에 팔당 부근은 자전거 동호인들의 메카로 새롭게 떠올랐다.
전국의 강줄기를 따라 자전거길이 많이 열렸지만, 팔당~양수리~양평 구간만큼 멋진 곳도 드물다.
옛 중앙선 철로를 걷어낸 자리를 따라 난 자전거길은 예봉산 자락 터널 구간을 지나고 아름다운 팔당호반을 바라보며 이어진다. 그 길이 조안면에 이르면 능내역을 만나게 된다.
능내역은 1956년에 문을 열었다가 2008년 중앙선 복선 전철화가 끝난 뒤 폐역이 됐다.
하지만 오래된 역사를 철거하지 않고 사진전시관으로 꾸며서 보존한 점이 다행스럽다.
실내에 들어서면 벽면에 주렁주렁 매달린 빛바랜 사진들이 눈에 들어온다.
능내역의 옛 모습, 교복을 입은 중년 남녀, 앳된 커플의 밝은 미소를 담은 사진도 있다.
방문객들이 빌려 입고 사진을 남길 수 있도록 교복도 갖춰놓았다.
개찰구였던 문을 밀고 나서면 승객들이 열차를 기다리던 플랫폼과 철로가 보인다.
플랫폼에는 나무걸상이 마련돼 있다. 거기에 아주머니 몇이 앉아서 오래전 여고 시절로 돌아간 듯 깔깔대며 수다가 한창이다.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된 능내역과 달리 양수리에서 양평에 이르는 간이역들은 모두 없어지고 현대식으로 지은 번듯한 역사가 새로 들어섰다.
용문에서부터는 국도를 벗어나 341번 지방도에 들어선다.
지평역을 중심으로 한 지평면 일대는 6·25전쟁 때 유엔연합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이다.
1951년 겨울부터 중국군의 대공세에 밀리던 연합군이 대대적인 반격에 성공한 전적을 기려서 해마다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하지만 행사가 열리는 지평역 광장은 최근 새로 조성해서 옛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어지는 석불역은 그야말로 손바닥만 한 간이역이다. 비록 새로 지은 역사지만 워낙 작은 데다 생김새도 남다르다.
운길산역에서 지평역까지 새로 지은 역들이 하나같이 네모나고 개성 없는 모습인 것과 비교하면 뾰족지붕을 갖춘 새 석불역은 장난감처럼 앙증맞다.
몇 년 전 근처를 지나면서 본 현수막이 생각난다. 거기에는 ‘지역민의 발이 되는 석불역 철거 반대’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그땐 무심히 보며 지났지만 지역민들에게는 심각한 사안이었던가 보다. 그 덕분인지 이렇게 작으나마 새 석불역이 세워졌으니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