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백제문화단지 1400년 전 백제의 숨결이 깨어나다
부여 백제문화단지 1400년 전 백제의 숨결이 깨어나다
백제문화단지의 정문인 정양문을 지나면 시원스런 중앙광장이 펼쳐지고, 그 뒤로 사비궁이 자리해 있다.
사비궁은 정전인 천정전을 중심으로 서궁과 동궁으로 나뉜다.
천정전이 왕의 즉위 의례나 신년 행사 등 국가의 각종 의식을 거행했던 공간이라면 서궁과 동궁은 왕의 집무 공간이다.
서궁에선 무신, 동궁에선 문신에 관련된 업무를 처리했다고 한다.
서궁과 동궁의 정전을 각각 무덕전과 문사전이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천정전 중앙에는 어좌(御座)가 놓여 있다. 용좌라고도 불리는 어좌는 왕이 앉던 의자다.
천정전의 어좌는 부여와 공주 지역에서 발굴된 백제시대 유물을 토대로 재현한 것으로, 기단부의 문양은 국보 제128호인 금동관음보살입상의 대좌에서
어좌 뒤 봉황문은 부여 규암면 외리에서 출토된 유물에서 차용한 것이다.
봉황은 태평성대에만 나타나는 전설 속의 새로 용, 거북, 기린과 함께 사령(四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어좌 양옆으로는 왕과 왕비의 평상복과 대례복이 전시돼 있다.
서궁의 무덕전은 백제시대 복식을 체험해볼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선 왕이 입던 용포에서 장군의 갑옷에 이르기까지 백제의 다양한 복식을 무료로 체험해볼 수 있다.
무덕전 중앙의 멋스러운 의자와 드라마 <계백> 에 나왔던 주인공들의 실물 크기 모형은 모두 기념촬영을 위한 소품들이다.
동궁의 문사전으로 걸음을 옮기면 백제 제26대 성왕이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천도를 선포하는 장면을 홀로그램으로 만나볼 수 있다.
사비궁 우측에는 능사(陵寺)가 자리해 있다. 능사는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백제 위덕왕 14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백제문화단지 내 능사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능산리사지·사적 제434호)에서 발굴된 유구를 토대로 복원한 것이다.
여기서 잠깐! 능사를 사찰의 이름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능사는 사찰의 이름이 아니라 ‘능 옆에 지어진 절’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이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던 사찰을 원찰이라 부르는 것과 비슷한 경우다.
실제로 능산리 절터에서 백제왕릉원까지는 직선거리로 채 200m도 되지 않는다.
백제문화단지 내 능사에는 대웅전과 오층목탑을 포함해 향로각, 부용각, 결업각, 자효당, 숙세각 등 부속 전각까지 고스란히 복원돼 있다.
그 중 시선을 끄는 건 단연 오층목탑이다. 높이 38m에 이르는 이 거대한 탑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복원한 백제시대 목탑이다.
능산리 절터 목탑 자리에서는 능사의 창건연대가 적힌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국보 제288호)이 출토되기도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사리함과 함께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인 백제금동대향로(국보 제287호)도 이곳 절터의 서쪽 건물지에서 출토되었다.
불전에 향을 피우기 위해 사용했던 백제금동대향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우리 유물 100선’에 선정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