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한산도 추봉도

통영 한산도 추봉도 시대 넘나드는 역사 여행

통영 한산도 추봉도 시대 넘나드는 역사 여행

통영 한산도 추봉도 시대 넘나드는 역사 여행

청양 고운식물원 숲과 정원이 어우러진 야생화 배움터

사계절 볼거리·먹을거리 넘치는 통영. 이 통영 여행을 더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일등 공신은 아마도 그가 품은 보석같은 섬들이 아닐까 싶다.

가까이 한산도를 시작으로 용호도·비진도·장사도·연화도·욕지도·소매물도 등 먼 바다까지 흩뿌려진 섬들은 ‘다도해’라는 이름에 걸맞게 통영을 감싸 안는다.

이중 통영에서 30분이면 닿는 한산도는 거리적 이점과 이순신 장군의 흔적을 오롯이 품고 있어 통영을 찾는 이들이 가장 먼저, 부담없이 찾는 섬으로 꼽힌다.

오늘은 더 특별한 한산도 여행을 위해 한산도와 연도교로 연결된 추봉도까지 돌아보기로 했다.

‘한산도’하면 ‘이순신 장군’과 ‘제승당’만 떠올리던 이들에게는 색다른 여행이 될 것이다.

한산도와 추봉도를 함께 돌아보기 위해서 차량 선적은 필수다.

통영 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한산도로 향하는 배가 출항한다.

차량 선적은 현장 접수순이니 배 시간을 알아보고 부지런히 움직이는 편이 좋다.

왕복요금은 성인 1만1000원, 청소년 1만원, 소아 5500원. 소요시간은 30분 내외다.

중형차 2만8800원, 승합차 3만6000원. 차량 선적 요금 별도.

흔히들 한산도 여행은 제승당 선착장에 내려 이충무공 유적지를 돌아보는 것으로 마무리 하곤 한다.

차량으로 20분 거리에 떨어져 있는 한산대첩기념비까지 돌아보는 이들도 많지 않다. 하지만 추봉도를 향해 달려본 이들은 알 것이다.

단지 제승당만 보고 한산도를 여행했다 하기에는 너무나 아쉽다는 것을.

오늘의 한산도 여행은 제승당선착장~추봉교~추원마을~포로수용소 터~예곡마을~한산도 땅끝마을~봉암몽돌해수욕장

한산대첩기념비~제승당~제승당선착장으로 추봉도까지 돌아본 뒤 원점회귀하는 코스다.

먼저 추봉도를 돌아본 뒤 한산도로 돌아와 한산대첩기념비와 제승당을 돌아보는 것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조금은 생소한 이름의 추봉도는 한산도 서남쪽에 이웃한 섬이다. 2007년 추봉교가 놓이면서 한산도와 연도교로 오갈 수 있게 됐다.

‘추봉도’라는 이름은 그가 품은 4개의 마을 중 가장 큰 추원마을과 봉암마을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제승당선착장에 내려 우회전하면 제승당이다. 좌회전해야 차도에 오를 수 있다. 섬의 외곽을 따라 달려가면 대고포 마을의 염전갯벌과 마주하게 된다.

한산도에서 첫손에 꼽히는 갯벌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군수용 소금을 구워 공급한 염전이 있던 곳이라고 ‘염포’라 부르다가 이후 ‘고포’로 불리게 됐다.

지금은 대고포와 소고포로 나뉜다. 흐린 날씨 덕분에 한층 운치있어 보인다.

얼마나 달렸을까. 그림같은 섬과 마주한다. 섬이 잘 보이는 포인트에는 어여쁜 섬에 대한 설명이 적힌 안내판이 놓여있다.

안내판에 ‘이곳은 입정포 마을로 이곳에 살던 가난하지만 효심 지극한 청년이 어머니의 장례를 제대로 치르지 못해 울고 있자 꽃상여가 여기까지 떠 내려왔다’는 설명이 있다.

‘생이섬’이라는 이름도 ‘상여’라는 사투리에서 나온 것이란다. 다시 보니 정말 꽃상여를 닮은 것도 같다.

생이섬 위로 솟은 해송을 뒤로 하고 추봉교를 건넌다. 드디어 추봉도다. 추봉도의 추원마을과 예곡마을은 6․25전쟁 당시 포로수용소가 있던 곳.

인근 거제포로수용소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입지조건이 좋은 이곳 추봉도에 포로수용소를 세워 1만 여명의 공산포로들을 격리수용했다.

수용소가 설치되면서 마을 주민들은 인근 마을로 강제 이주당했고 휴전협정 이후 수용소가 폐쇄되고 나서야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예곡마을에 들어서면 ‘예곡어촌체험마을’ 건물 옆으로 포로수용소가 존재했음을 알리는 안내판이 자리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