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보물섬 상화원에서

한옥의 보물섬 상화원에서 홀로 보낸 몇 시간

한옥의 보물섬 상화원에서 홀로 보낸 몇 시간

한옥의 보물섬 상화원에서 홀로 보낸 몇 시간

떠나가는 가을이 남긴 노란 단풍 청라 은행마을

한옥이 섬으로 들어갔다.

섬을 수호하던 나무는 전입신고를 마친 오래된 집을 감쌌다.

사람은 손길을 뻗어 길을 내고 연못을 만들었다. 섬에서 본 바다가 조화로워 상화원이라 이름 붙였다.

죽도에 정원이 생긴 사연이다. 풍경이 아름다워 보물섬이란 소문이 뭍으로 퍼졌다.

혼자 조용히 무더위 피할 시간이 간절하다면 보령시 죽도 상화원으로 향하자.

섬 전체가 정원이 되다

장항선 대천역에 내려 택시로 갈아타니 죽도까지 10여 분 거리다.

원래 서해에 떠 있던 섬이 간척사업으로 도로가 놓이며 육지와 연결되었다.

한때 난개발의 위기에 놓이기도 했지만 죽도의 자연을 온전하게 지키겠다는 섬 주인의 고집 덕분에 지금의 모습을 보존할 수 있었다.

주인은 섬을 보호하기 위한 의미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조화를 숭상한다는 뜻을 담아 상화원(尙和園)이라는 이름의 정원을 만들기로 했다.

죽도의 자연에 상처 내지 않겠다는 결심과 함께였다. 섬에 한옥을 들여올 생각은 어떻게 했을까.

이질적으로만 느껴지는 둘의 만남은 오늘날 생각해보니 절묘했다.

방문객들은 예상치도 못한 한옥을 섬에서 만나 기뻤다. 사라질 위기 앞에서 생명을 연장한 한옥이었다.

상화원 어디에서든 바다는 손에 잡힐 듯하다. 길과 어깨를 맞댄 울창한 숲은 몸을 숨기기에 충분하다.

인파가 몰리는 여행지가 부담스럽다면 상화원은 잠깐 나의 행방을 묘연하게 만들 근사한 은신처가 된다.

상화원의 길을 걷다

상화원 전체를 도는 데 1시간 30여 분이면 족하다. 섬까지 와서 서두를 필요가 있을까.

조급함은 잠시 접어두자. 상화원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에 잘생긴 한옥 한 채가 반긴다. 의곡당이다.

경기도 화성 관아에서 정자로 이용하려고 지었던 한옥이다. 고려 후기 또는 조선 초기에 세웠다고 추정한다.

상화원으로 옮겨오기 전에는 천막을 쳐서 다방으로 썼다. 보존을 위해 이곳으로 오지 않았다면 이미 철거되었을 가옥이다.

의곡당은 현재 방문객센터로 쓰인다. 관람하는 이들에게 간단한 음료와 떡을 제공한다.

상화원 안에는 식당이나 매점이 없으니 참고하자. 마실 물을 챙기지 못했다면 회랑에 갖다놓은 생수자율판매대를 이용하면 된다.

상화원 관람은 입구를 등지고 오른쪽에서부터 시작된다. 1km가 넘는 회랑을 따라 걸으면 된다.

회랑으로 향하기 전 초록 잎이 무성한 팽나무에게 눈길 한 번 주자.

누가 적어두었는지 ‘팽나무 약 200살’이라 쓴 나무판자가 익살스럽다. 넉넉하게 드리운 나무 그늘이 고마운 계절이다.

‘산책로 입구’라 쓰인 푯말이 출발점이다.

회랑 바닥에 설치한 하얀색 줄은 방문객들에게 이정표 구실을 한다.

50m마다 설치한 거리 표시가 얼마나 걸어왔는지 알려준다. 덕분에 길을 찾는 수고는 덜하고 마음에 담는 풍경의 크기는 배가 된다.

회랑은 죽도 원주민이 오랜 시간 지나던 길을 그대로 따라 만들었다.

섬의 등고선과 닮은 높낮이에 지루할 새가 없다. 지붕을 얹어 궂은 날씨에도 산책하는 데 어렵지 않다.

계단이 많아 유모차나 휠체어로 가기엔 불편하다. 길 중간에 의자와 탁자를 둔 쉼터가 충분하다.

길에서 조금 벗어나 숲에서 보는 회랑 지붕의 곡선이 유려하다.

오르고 내리고 꺾이는 모습이 서해의 파도 같기도 하고 한옥의 지붕을 모방한 듯도 하다.

길을 놓는데 방해된다는 이유로 나무를 베지 않았다.

바닥과 천장에 구멍을 뚫어 자연을 지켰다. 나무를 피해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오히려 흥미롭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