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제천 관광두레 마을 1일 체험 여행

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제천 관광두레 마을 1일 체험 여행

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제천 관광두레 마을 1일 체험 여행

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제천 관광두레 마을 1일 체험 여행

송이 연어 해양레포츠의 앙상블 양양

관광두레는 지역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관광 사업을 자발적으로 운영하면서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는 주민 주도형 관광 경영 공동체 사업이다.

2013년 경기 양평, 강원 양구, 충북 제천, 경북 청송, 전북 부안 등 5개 지역이 시범 관광두레 사업지로 선정되어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다.

특히 각 지역의 고유한 특색을 살려 활발히 운영 중인 충북 제천의 관광두레마을을 소개한다.

제천 관광두레마을 여행 코스는 세 곳의 두레마을 사업과 주변 관광지를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제천의 숨은 보물로 꼽히는 교동민화마을과 공전마을은 자작문화예술협동조합의 노력으로 새로운 관광지로 변모했다.

교동민화마을에서는 민화를 주제로 한 벽화 제작, 체험 프로그램, 기념품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옛 공전초등학교를 활용한 공전자연학교에서는 효소 체험과 효소 밥상을 통해 가족 건강을 위한 체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폐역인 공전역사는 목공예 체험장인 우드트레인으로 새롭게 탄생해 활발히 운영 중이다.

교동민화마을이 위치한 교동은 1960년대 산업화 이후 도농 복합지구 형태의 거주지로 형성됐으나, 최근 빈집 증가 문제가 두드러졌다.

이에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2009년부터 담벼락에 민화를 그리기 시작하며 이곳을 민화마을로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현재 교동 일대에는 호랑이와 사슴 같은 전통 민화 속 동물들, 어린아이들의 순수한 모습 등을 담은 100여 점 이상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곳 벽화의 독특한 점은 주제가 어변성룡이라는 데 있다.

물고기가 용으로 변한다는 의미로, 이는 합격이나 출세를 상징해 특히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부모들에게 매력적인 방문지가 되고 있다.

교동민화마을의 중심지인 지은순민화연구소에서는 민화 그리기, 민화를 활용한 어변성룡 복주머니 만들기,

민화 부채 만들기 등의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전통 물감을 이용해 직접 그림을 그려보는 활동은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특별한 추억을 제공한다.

교동민화마을에는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이었던 교동향교도 위치해 있다.

이 향교는 고려 공양왕 원년에 설립되었고, 현재 지방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시범 향교로도 인정받고 있다.

지역 예술가 15명이 협력해 구성한 자작문화예술협동조합은 문학, 사진, 도자기, 목공예, 미술 등

다양한 전공 분야를 기반으로 문화와 관광, 체험 교육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자립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이들은 폐교된 공전초등학교와 폐역 공전역을 활용해 효소 체험 중심의 공전자연학교와 목공예 체험장을 활성화시켰다.

특히 공전자연학교는 오미자, 약초, 매실 등을 활용한 효소 체험과 효소를 재료로 한 자연 밥상으로 이미 명성을 얻고 있다.

공전자연학교는 옛 공전초등학교에 위치하며, 이 학교는 과거 전교생이 2천 명이 넘던 큰 규모였으나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해 1999년 폐교되었다.

이후 안명숙 교장이 이 장소를 임대해 2013년 공전자연학교를 열었고, 산야초를 활용한 차와 효소 제품을 개발해 상품화함과 동시에 체험학습 프로그램까지 운영하며 새로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