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것의 즐거움을 배우다 평택 웃다리문화촌

우리 것의 즐거움을 배우다 평택 웃다리문화촌

우리 것의 즐거움을 배우다 평택 웃다리문화촌

우리 것의 즐거움을 배우다 평택 웃다리문화촌

가을의 정취를 느끼러 포천 국립수목원으로 가자

웃다리문화촌을 찾아가는 길. 고속도로를 빠져나오니 이내 가을빛 완연한 황금 들녘이 성큼 다가선다.

추수가 끝난 곳도 있고, 이제 막 추수를 시작하는 곳도 있다.

예부터 넓은 들을 끼고 있어 농산물이 풍부했던 평택의 가을은 이처럼 화려하고 넉넉하다.

폐교에서 전통이 살아 있는 문화공간으로

웃다리? 이름이 독특하다. 이 특이한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 웃다리는 농악의 한 종류이다.

농악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른데,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을 웃다리 농악이라 부른다.

그 중에서도 평택농악은 지난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될 정도로 웃다리 농악을 대표한다.

이곳 문화촌 이름을 웃다리라 지은 것도 이런 자부심 때문이다.

웃다리문화촌은 옛 금각초등학교 자리에 들어섰다.

1945년에 개교한 금각초등학교는 서탄초등학교 금각분교를 거쳐 지난 2000년에 폐교되었다.

미군 부대 때문에 개발이 제한되자 젊은 주민들이 하나 둘 마을을 떠났기 때문이다.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가득했던 학교는 이내 마을의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

흉물스럽게 남아 있던 폐교가 전통과 놀이가 결합된 문화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건 2006년의 일.

평택문화원이 주축이 돼 생활도예, 공예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웃다리문화촌을 조성하면서부터다.

마을 주민들의 참여도 적극적이었다.

매일처럼 문화촌에 나와 부족한 일손을 보탰고, 동물을 기증하거나 농장을 조성하는 데에도 내 일처럼 나서 품을 들였다.

잡초만 무성하던 흉물스런 폐교가 다시 아이들과 마을 주민들의 웃음소리 가득한 문화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다.

웃다리문화촌 입구에 들어서면 산뜻한 운동장이 가장 먼저 여행자를 반긴다.

주차장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잔디가 깔려 있다.

말끔하게 정돈된 잔디 운동장은 아이들이 뛰어놀기에도, 돗자리를 깔고 잠깐 휴식을 취하기에도 좋은 공간이다.

잔디 운동장 옆에는 아담한 동물원이 자리했다. 동물원이라고 해서 거창한 건 아니다.

그래도 베트남 돼지에서 꽃사슴, 토끼, 흑염소 등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동물들은 다 모여 있다.

그 중에서도 베트남 돼지가 아이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아마도 독특한 생김새 때문이 아닌가 싶다.

아닌 게 아니라 베트남 돼지는 들려 올라간 코나 온몸에 제법 긴 털이 나 있는 것이 우리네 토종 돼지와는 많이 다르다.

아이들은 주변에서 뜯어온 풀을 토끼와 흑염소에게 먹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이곳은 웃다리문화촌에서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공간 중 한 곳이다.

운동장 주위로는 토피어리로 제작한 다양한 작품과 허수아비들이 한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운동장을 가로질러 건물 안으로 들어선다.

야트막한 단층 건물은 전형적인 아버지 세대 초등학교의 모습을 하고 있다.

현관을 지나 복도로 들어서면 시간은 훌쩍 60~70년대로 건너뛴다.

삐걱거리는 나무 복도도 그렇고, 뻑뻑해 잘 열리지 않는 미닫이 교실문도 예스러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건물 안으로 들어서기만 하면 “우리 때는 말이지~”로 시작되는 아빠들의 일장(?) 연설이 펼쳐지곤 한다.

아이들도 자신들이 다니는 초등학교와 너무도 다른 모습에 모든 게 신기하기만 하다.

건물 복도에는 다듬잇돌 5개가 놓여 있다.

다듬잇돌을 대하는 아이들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텔레비전에서라도 본 적이 있는 아이들은 자신의 팔뚝만한 홍두깨를 들고 또닥또닥 다듬이질 흉내라도 내보지만, 이도 아닌 아이들은 도대체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마냥 신기해하는 표정이다.

‘다리미처럼 구겨진 옷을 펴주는 물건’이라는 설명을 듣고서야 고개를 끄덕이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엄마 아빠도 어릴 적 들어본 다듬이질 소리를 흉내내보지만 쉽지 않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