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또 포졸

사또 포졸 거지와 함께 조선 시대로 떠나보자

사또 포졸 거지와 함께 조선 시대로 떠나보자

사또 포졸 거지와 함께 조선 시대로 떠나보자

여름나기 좋은 농촌마을 여행

드라마에서 종종 시간 여행을 소재로 삼는다.

어느 날 아침 눈을 떠보니 조선 시대라서 놀라는 주인공이 나오거나, 과거에서 현재로 이동해서 좌충우돌하기도 한다.

누구나 한번쯤 시간 여행을 꿈꾼다. 과거나 미래로 떠나는 시간 여행은 특별한 재미를 주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곳으로 한국민속촌이 으뜸이다.

조선 시대 마을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듯한 공간으로, 그 시대 그 자리에 있었을 법한 개성 만점 캐릭터까지 만날 수 있다.

한국민속촌을 학창 시절 수학여행이나 소풍, 가족 나들이 등 추억의 장소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안동하회마을이나 경주양동마을처럼 옛날 집이 많은 곳으로 여기기도 한다.

한국민속촌을 다시 방문한 이들은 추억의 그곳과 배경은 같은데 내용은 확 바뀐 모습에 깜짝 놀란다.

최근 3~4년 사이 한국민속촌이 달라졌다. 변화의 중심은 콘텐츠.

고풍스러운 옛 모습은 유지하면서도 흥미로운 콘텐츠를 보강해 관람객이 훨씬 재미를 느낄 수 있다.

2012년부터 봄에 한시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 ‘웰컴 투 조선!’이 인기를 끌자, 2014년부터 조선 시대 캐릭터를 상시 만날 수 있게 했다.

캐릭터는 다양하다. 사또와 포졸, 무사와 거지, 악사와 화공, 부잣집 대감과 기생, 구미호, 황진이, 장옥정, 관상쟁이

장금이 등 조선 시대 사람과 드라마 속 인물 등이 곳곳에서 관람객을 기다린다.

주어진 캐릭터에 맞게 적절한 연기까지 곁들여 관람객을 드라마 장면으로 초대한다.

사약을 받는 장면에서 장옥정은 지나가는 사람에게 당신도 죄가 있다면 여기 앉아 사약을 받으라고 불러들인다.

나무 아래 누워 낮잠 자던 거지는 구걸하거나 농담을 던지며 즉흥 연기를 펼친다.

관아에서는 관람객을 상대로 포졸 선발 대회를 하거나 범인을 잡으러 가는 미션을 수행하게 한다.

완벽하게 분장하고 옛날 옷을 갖춰 입은 캐릭터가 말을 걸자, 처음에는 당황하던 관람객도 차츰 조선 시대 사람이 된 듯 상황을 즐긴다.

사극에서 흔히 보던 장면을 실제로 겪고 눈앞에서 지켜보니 생생하고 즐겁다.

민속촌이 그저 옛 모습을 관람하는 곳이 아니라 직접 체험하고 즐기는 곳으로 변하니 찾는 계층이 젊어졌다.

일부러 한복을 챙겨 입고 오는 이들도 늘어난다.

돌아다니다 보면 익숙한 풍경이 자주 보인다.

조선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를 이곳에서 자주 촬영하기 때문이다. 드라마 〈대장금〉 〈성균관 스캔들〉 〈해를 품은 달〉 〈별에서 온 그대〉,

영화 〈역린〉 〈관상〉 등 수많은 작품이 한국민속촌을 배경으로 했다. ‘사극드라마축제’가 열리면

한국민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 관련 전시, 사극 특수 분장 체험 등 재미있는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한국민속촌에는 99칸 양반가를 비롯해 관아, 서당, 초가 등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실물 가옥을 이건·복원했다.

골목이나 텃밭, 장터, 다리 등 공간 구성이 자연스러워 촬영장으로 인기다.

중부 지역과 남부 지역의 가옥 차이를 비교하고, 너와집이나 제주도 민가도 볼 수 있어 아이들에게는 현장 학습 효과 만점이다.

봄에 ‘웰컴 투 조선! 조선문화축제’, 여름에 ‘시골 외갓집의 여름’, 가을에 ‘사극드라마축제’, 겨울에 ‘겨울冬冬 시골집 이야기’

‘추억의 그때 그 놀이’ 등 계절별로 재미있는 축제가 벌어진다. 설날이나 대보름, 단오, 한가위, 동지 등 명절과 세시 풍속을 챙기고

농악과 마상 무예, 국악 비보이, 전통 혼례 등 매일 혹은 주말 공연도 큰 볼거리다. 찾을 때마다 새로운 즐길 거리가 있고, 우리 전통문화를 현장에서 보고 익히니 일석이조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