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에서 책 짓는

폐교에서 책 짓는 마을로 고창 책마을해리

폐교에서 책 짓는 마을로 고창 책마을해리

폐교에서 책 짓는 마을로 고창 책마을해리

아련한 추억 품은 보수동 책방골목 산책

아이들이 떠난 학교는 오랫동안 외로웠다.

잠들어 있던 학교에 활기를 불어넣은 지 10여 년, 울창한 ‘책숲’이 들어섰고 사람들의 발길이 다시 이어졌다.

폐교에서 책마을로 재탄생한 이곳엔 ‘함께 쓰는’ 수많은 이야기가 종이 위에 새겨지고 있다.

평범하지만 소중한 우리들의 이야기다.

저 멀리 파도 소리 들리고 별들의 세세한 움직임까지 또렷이 보이는 고창의 월봉마을.

1933년, 이 작은 마을에 초등학교가 들어섰다. 나지막한 건물이 세워졌고 아이들에게 친근한 동물상이 교정 곳곳에 놓였다.

많은 학생들이 이 작은 배움터에서 꿈을 키워나갔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2001년, 나성초등학교는 문을 닫았다.

서울에서 출판사에 몸담고 있었던 책마을해리의 이대건 촌장은 선친이 세웠던 잠든 학교를 깨워야겠다고 생각했다.

2006년, ‘책마을’을 만들겠다는 꿈으로 폐허가 된 학교를 가꿔나가기 시작했고, 2012년엔 아예 가족과 함께 이곳에 정착했다.

“유럽엔 책마을이 많아요. 오래된 책을 모아둔 전통 있는 곳이죠.

책마을해리는 책이 있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삶, 이야기를 한 권으로 묶어내는 곳이었으면 해요.

스스로 저자가 되고 실제로 출판이 되는, 그리고 책 속에 쓴 꿈이 마법처럼 이뤄지는 마을이죠.”

삐걱거리는 복도를 다시 깔고, 교실을 말끔하게 단장했으며, 벽에 화사한 그림을 그렸다. 그러곤 차곡차곡 책을 들여놨다.

책마을해리가 생겨나면서 20여 가구가 사는 월봉마을에 활기가 돋아났다.

동네 어르신들은 자식들이 다녔던 학교가 다시 문을 열자 반겼다. 그리고 농사일이 끝나고 나면 이곳에 모였다.

글은 잘 모르지만 농사짓기 박사인 할아버지와 자식 키우기 선수인 할머니들이 각자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놨고, 그것은 소중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책마을도 완연한 가을로 접어들었다. 붉은 벽돌을 가득 덮은 담쟁이덩굴이 계절의 운치를 더한다.

책마을해리엔 12만 권의 책이 있다. 방송국과 출판사, 도서관, 개인 등에게 기증 받은 책들이다.

천장부터 바닥까지 책이 쌓여 있는 ‘책숲시간의숲(책숲)’엔 묵직한 시간이 흐른다.

고스란히 드러나 있는 나무 서까래와 첩첩이 쌓인 책들의 시간이 묘하게 교차된다.

책숲 옆엔 종이를 만들어볼 수 있는 한지공방이 자리한다.

공방 한가운데 종이로 만든 작은 집에 들어가자 부드러운 공기가 감싸 안는다.

공방 창문 너머엔 닥나무 몇 그루가 자란다. 옆 교실엔 거대한 자태를 뽐내는 활판인쇄기도 있다.

낡아 보이지만 지금도 끄떡없이 돌아가는 인쇄기다.

교실 2칸으로 이루어진 ‘버들눈도서관’엔 수만 권 중에 고르고 고른 그림책과 어린이․청소년 책이 그득하다.

책을 기획하고 글쓰기, 그림 그리기 등을 하는 ‘누리책공방’에선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진다.

마룻바닥에 엉덩이를 붙이고 그림을 그리는 아이들과 한 글자라도 더 익히려는 어르신들의 열정이 넘치는 공간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