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오천항 키조개 서해의 품에서 캐낸 보물
보령 오천항 키조개 서해의 품에서 캐낸 보물
보령 북부권의 모든 길은 오천과 통한다는 말이 있다.
백제시대에 오천항이 보령의 주요 항구와 군항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후 오천항은 작은 어촌 항구로 위세가 꺾였지만, 근래 들어 키조개로 인해 다시 옛 영광을 찾아가는 중이다.
키조개 전국 생산량의 60% 정도를 오천항이 차지하니 전국 각지의 미식가들이 포구로 모여든다.
진달래 피는 4월부터가 키조개 제철이다.
수심 40m에서 머구리가 캐내
‘오천’의 한자어는 ‘자라 오(鰲)’, ‘내 천(川)’을 쓴다.
오천을 비롯한 천수만 일대의 지형이 마치 자라와도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다 양면에 있는 산이 방파제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아무리 심한 폭풍우에도 피해가 없고, 수심이 깊어 간만의 차로 인한 선박의 통행이 전혀 불편하지 않은 천혜의 항구다.
항이라고 하지만 규모는 작다. 여행객을 위한 변변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도 않다.
바닷가를 따라 식당이 있고, 식당에서 마음에 드는 해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정도다.
그럼에도 봄철을 맞아 오천항을 찾는 이유는 국내 최대의 키조개 산지이기 때문이다.
키조개는 수심 20~50m의 깊은 모래흙에 수직으로 박혀 있다.
낚시로 잡는 것도 아니고, 그물로 걷어 올리는 것도 아니다.
오로지 사람이 직접 바닷속에 들어가 하나하나 건져 올린다.
키조개를 캐는 일은 머구리의 몫이다. 이름도 생소한 머구리는 잠수부의 속칭이다.
바닷물에 들어가 고기를 잡거나 해산물을 채취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머구리는 물때에 맞춰 바다로 나가 작업을 한다.
짧게는 3시간, 길게는 6시간 이상 바닷속을 헤매며 키조개를 잡는다.
작업이 가능한 날은 보름 정도. 사리 때는 물살이 거세서 작업을 못하고 조금 때만 작업한다.
오천항 머구리들은 키조개를 찾아 수심 40m 이상 들어가는 일이 다반사다.
힘들고 위험한 일이지만 키조개가 삶을 지탱해주는 돈줄이니 어쩔 수 없다.
장비라야 물안경과 갈퀴가 전부다. 잠수복을 입는다고는 하지만 장비가 너무나 단출하다. 여기에 공기 호스가 연결된 호흡기가 전부다.
심해 잠수부들이 사용하는 튼튼한 헬멧 같은 것은 키조개 채취에 방해가 돼서 없는 게 낫다고 한다.
머구리가 바닷속으로 뛰어들면 잔잔한 수면 위로 공기방울이 하나둘 올라온다.
넓은 바다에서 머구리의 흔적은 이게 전부다.
배에 남은 선원들이 해줄 수 있는 건 그의 신호를 기다렸다가 어망을 내려주고, 공기 호스를 통해 공기가 잘 주입되고 있는지 혹 호스가 꼬이지는 않았는지 살피는 게 전부다.
작업이 끝날 때까지 머구리는 2시간이든 3시간이든, 춥고 어두운 바닷속을 홀로 걸으며 고군분투해야 한다.
사실 머구리에게 작업시간이란 딱히 정해진 게 아니다. 정해진 물량을 채우면 작업이 끝난다.
만일 작업장을 잘못 찾아 들어가면 허탕만 치고 종일 고생해야 한다.
머구리가 하루에 채취할 수 있는 키조개는 3,000미로 제한하고 있다.
어족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그러니 좋은 값을 받기 위해서는 8~9년 성장한 25~28cm 크기의 키조개를 캐야 한다.
맑은 물이 들어오는 4~5월은 바닷속 시야가 밝아 작업하기 좋은 철이다.
이때 작업을 많이 해서 수입을 늘리는 것이 머구리들의 소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