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에서 즐기는 지질 여행 청송국가지질공원
청송에서 즐기는 지질 여행 청송국가지질공원
최근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이 새로운 관광 패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오투어리즘은 천연의 지질 자원을 관광 상품으로 활용하여 관광객을 유치하는 ‘지질 관광’을 일컫는 말이다.
청송은 지난 4월 제주도와 울릉도·독도, 부산광역시, 그리고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 등 5개 군을 포함하는 강원평화지역과 함께 국가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다.
청송의 주왕산을 비롯해 5개 읍·면에 산재해 있는 지질 명소를 찾아가본다.
신성계곡에서 만나는 공룡 발자국과 방호정 퇴적층
청송의 지질 명소는 청송읍, 부동면, 진보면, 안덕면, 부남면 등 5개 읍·면에 산재해 있다.
주왕산지구 13곳과 신성지구 4곳을 포함해 총 17개의 지질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그 가운데 신성지구는 청송자연휴양림 내 퇴적층을 포함해 방호정 퇴적층, 신성공룡발자국, 백석탄 등 4곳이다.
4곳의 지질 명소 가운데 방호정 퇴적층과 신성공룡발자국, 백석탄은 안동 길안면으로 흐르는 길안천인 신성계곡 일대에서 차례로 만난다.
신성지구에서 첫 번째로 만나는 지질 명소는 방호정을 떠받치고 있는 듬직한 기암절벽이다.
방호정은 조선 광해군 때 선비인 조준도가 어머니를 생각하며 지은 정자다.
방호정 아래의 기암절벽은 일명 방호정 퇴적층이다.
방호정 퇴적층이 생성된 것은 1억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랜 세월 동안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등이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잘게 부서지고,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의 흐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물의 흐름이 느려지는 곳에서 쌓이게 되고, 이때 쌓인 퇴적층이 굳어지면 퇴적암이 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며 지구 판의 이동이나 조산운동에 의해 지각이 움직이면서 형태가 변하게 되는데, 방호정 퇴적층은 지층이 융기되면서 옆으로 기울어졌다.
또한 지층의 가장 윗부분은 침식작용으로 평탄하게 다져졌다.
그리고 그 위에 방호정이 지어진 것이다.
방호정 입구에서 바라다보면 지층이 대각선으로 쌓인 것처럼 보이는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작용한 결과다.
방호정에서 건너편 산을 바라보면 울창한 숲 사이로 삿갓 모양을 한 암반이 보인다.
지난 2003년 태풍 매미가 지나면서 산사면의 토사가 무너져 내렸는데 이곳에서 용각류, 수각류, 조각류 등 400여 개의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용각류는 흔히 알고 있는 브라키오사우루스 같은 몸집이 크고 목이 긴 초식공룡이고,
수각류는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가진 육식공룡,
조각류는 이구아노돈 같은 쥐라기, 백악기를 주름잡던 공룡이다.
400여 개의 발자국은 걸어간 듯한 일정 간격으로 같은 방향으로 나 있다.
공룡이 지나갔던 흔적, 과연 공룡들은 무엇을 위해 이곳을 지나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