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소 옆 숨어 있는 부산의 맛집을 찾아라

명소 옆 숨어 있는 부산의 맛집을 찾아라

명소 옆 숨어 있는 부산의 맛집을 찾아라

명소 옆 숨어 있는 부산의 맛집을 찾아라

추억을 담은 보수동 책방골목의 산책

내륙으로 이어지는 부산의 관문, 부산역은 날마다 사람들로 분주하다.

그 가운데 독특한 식감으로 한번 맛을 본 사람은 또 찾는다는 신발원이 있다.

자갈치시장에는 반세기 동안 부산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양곱창 굽는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난다.

부평동에서 60년째 광어육수로 끓인 추어탕은 추어탕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 놓았다.

후식은 아름아름 입소문을 타고 있는 광안리해변 근처 부산커피갤러리 에서 골드카푸치노 한잔은 어떨까?

부산에서 중국의 진미를 맛보다. 신발원

부산역에서 지하도를 건너면 중국 거리에서나 봄 직한 패루가 서 있다.

그 안쪽 골목이 부산 차이나타운이다. 이곳에서 60년 넘게 맛집으로 소문난 곳이 신발원이다.

점심시간에는 문전성시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가게 안은 발 디딜 틈이 없다. 가게규모는 테이블이 4~5개 정도로 좁은 편이다.

‘양’은 소의 위를 가리킨다.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정력과 기운을 돋우고 어지럼증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다’고 했다. 기운 빠지는 여름에 제격인 음식이다.

부산 자갈치역 6번과 8번 출구사이 골목길에는 50년 이상 부산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양곱창 가게가 모여 있다.

평일에는 일본관광객과 현지인들이, 주말에는 전국에서 모여든 여행자들이 주 고객이다.

백화양곱창 한 곳에서 하루에 소 십여 마리 분 양곱창이 연탄불에서 환골탈태한다.

주문과 동시에 연탄불이 올라오고 쫄깃한 양과 지방질이 많아 고소한 대창과 소창 그리고 독특한 식감의 염통이 함께 나온다.

가격은 300g에 25,000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식당 분위기는 실비집 형태로 친서민적이다.

아주머니가 바텐더처럼 가운데 앉아서 연탄불에 직접 구워준다. 마늘소스 간장양념이 살짝 베인 소금구이는 특제소스에 찍어 먹는데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양념을 최소화한 상추겉절이와 시원한 동치미가 기름기 많은 양곱창과 잘 어울린다.

아무리 배가 불러도 볶음밥을 포기할 수는 없다. 매콤달콤한 양념에 쫄깃한 양곱창이 어우러져 식욕은 하늘을 찌른다.

볶음밥은 살짝 눌어야 제 맛. 꼬들꼬들하게 눌은 밥을 마른 김에 싸먹는데 이 또한 별미이다.

1959년에 문을 연 구포집. 추어탕과 복국을 대표 메뉴로 3대째 맛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간판도 없는 판잣집시절까지 더하면 60년이 넘었다.

평일 점심시간에는 넥타이부대가 줄지어 입·퇴장을 반복하고, 이후시간대에는 머리 희끗희끗한 장년층들이 주류를 이룬다.

추어(미꾸라지)는 겨울잠에 들어가기 전에 기름기가 많고 살이 올라 영양도 좋고 가장 맛있다.

추어탕은 전국적으로 들깨가루가 잔뜩 들어간 전라도식 추어탕이 대세다. 하지만 유독 경상도에서만큼은 예외다.

경상도식 추어탕은 풋배추, 토란대, 부추 등을 넣고 맑게 끓여낸다.

기호에 따라 깻잎보다 훨씬 맛이 강한 방아잎과 알싸한 맛과 향의 산초가루를 넣어먹는다.

그런데 구포집 추어탕은 맛의 비결이 다른데 있다. 광어회를 뜨고 남은 뼈로 육수로 끓여 추어탕을 낸다.

또 직접 담근 된장을 옅게 풀어 간을 맞춘다. 그래서 맛이 훨씬 진하고 깊다.

푸짐하게 나오는 복국 역시 직장인들의 속풀이 전용식단으로 인기다.

시큼한 식초 한 방울이 국물에 번지면 답답했던 속, 뒤엉켰던 속은 평정심을 되찾는다.

메뉴 특성상 관광객들이 많이 오는 여름보다 가을, 겨울에 손님이 많다. 겨울에는 생대구탕이 별미다.

관공서, 은행, 회사에서 단체모임을 많이 한다고. 연중무휴이며 명절 당일 하루 쉰다.

자갈치역 3번 출구에서 보수사거리 방향으로 600여m 거리에 있다.

가까운 곳에 보수동헌책방골목과 부평깡통시장, 부평족발골목 등이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