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개국의 땅 전주 남원 진안 역사 여행
조선개국의 땅 전주 남원 진안 역사 여행
이 땅의 이름이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어 가던 14세기 말,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격동의 시대.
바람 앞의 등불 같은 ‘고려’ 끝자락과 두려울 것 없이 성큼성큼 다가오던 ‘조선’의 시작점을 살아가던 이들의 삶은 어땠을까.
KBS1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인 <정도전>을 따라 역사 여행을 떠나봤다. 전주와 남원, 진안에서 만난 살아있는 조선의 역사 따라 출발!
고려말에서 조선초, 이 시대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인물이 몇 있다.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 그리고 태종 이방원과 정몽주다.
고려 충신 정몽주에게 새나라 ‘조선’을 함께 건국하자 회유하던 조선의 세 번째 왕 태조 이방원의 시
‘하여가’와 고려 충신으로 생을 마친 정몽주의 답가 ‘단심가’ 한 소절 읊어보며 조선시대 역사 여행을 시작해보자.
결국 정몽주는 개경의 선지교(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제거된다.
그의 죽음은 새나라 건국에 날개가 된다.
4개월 뒤인 1392년 8월 이성계는 고려 공양왕에게 왕위를 받아 조선을 건국한다. 500년 고려의 끝 그리고 500년 조선의 시작이었다.
역사의 승자는 이성계였다.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잡은 이성계는 최영 세력을 숙청하고 조선의 태조가 된다.
그리고 그의 곁에는 조선의 ‘소프트웨어’를 완성한 정도전이 있었다. <조선경국전>의 저술자이자 ‘조선’이라는 나라의 설계자 정도전.
1398년, 정몽주에 이어 이방원에게 제거되기 전까지 그는 조선 최고의 권력자이자 설계자로 활약했다. 길지 않은 시간이었다.
고려에서는 변방인으로 새나라 조선에서는 개국공신으로 꽃을 피우나 싶더니 태종 이방원에게 제거된 후 조선 말기에 가서야 복원된 정도전.
하지만 그가 주장하고 기획한 한양 천도, 경복궁, 한양 도성 등은 조선시대를 관통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우리가 지금껏 알고 있는 성문의 이름도 그의 작품이다.
미비한 신분 탓에 외면당하던 고려를 벗어나 새로운 나라에서 잠시나마 마음껏 춤출 수 있었던 정도전이 꿈꾸던 ‘백성들이 살만한’ 세상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태조 이성계의 어진 품은 경기전
전주를 비롯해 남원과 진안 등 전라북도 지역은 조선의 건국과 뗄 수 없는 공간이다.
특히 ‘가장 한국적인 고장’으로 꼽히는 전주에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태조 어진(임금님 초상화)을 비롯해 전주이씨 시조 묘역인 조경묘,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승리한 후 쉬어 갔다던 오목대와 이목대 등 얘깃거리가 넘쳐난다.
상당수가 전주한옥마을 지척에 자리하니 한옥마을부터 살펴보자.
태조 어진을 모신 경기전 정전(보물 제1578호)에 들어선다.
왕조가 일어난 경사스러운 터를 뜻하는 경기전은 조선 건국을 기념해 건립됐다.
기둥 아래 하얗게 덧칠한 구름을 타고 왕을 배알하러 다가간다.
안으로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들의 대립, 밖으로는 왜구와 홍건적이 들끓던 고려말 혼란기,
최영과 함께 고려 최고 무장으로 꼽히던 이성계는 새나라를 개국한다. 경기전에 모신 태조 어진(국보 제317호)이 푸른 곤룡포를 입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태조 어진 진품은 어진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 일년에 한번, 한달 정도 대중에게 공개된다. 올해는 아직 일정이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