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암각화에 신라 화랑들이 찾아간 울주 천전리 각석
선사시대 암각화에 신라 화랑들이 찾아간 울주 천전리 각석
따스한 봄볕에 꽃들은 화려하게 피어나고, 살랑이는 봄바람에 춘정이 이니 어디론가 떠나야 할 것만 같다.
‘어디로 갈까?’ 고민하던 차에 지난달 종영한 드라마 <화랑>이 생각났다. 신라의 화랑들은 명승지를 찾아다니며
심신을 수련하고 국토애를 길렀다고 하는데. 그들이 다녀간 곳이라면 훌륭한 여행지가 되지 않을까?
울산 태화강의 지류, 대곡천 기슭에 있는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제147호)이 바로 그런 곳이다.
새도, 물도, 꽃도 봄기운을 받아 제 소리와 색을 뽐내는 지금, 오감을 활짝 열고 봄이 오는 대곡천을 따라 걷는다.
신라의 화랑이 된 것처럼. 그리고 그 길의 끝에서 영화보다 흥미롭고 생생한 역사의 두 장면을 만난다.
울산암각화박물관에서 천전리 각석 미리보기
울산광역시를 가는데 내비게이션은 ‘경주IC’로 나가란다.
경주IC로 나와 20여 분 갔을까. ‘천전리 각석’ 표지판이 눈에 들어온다.
하지만 그냥 지나치고 잠시 후 ‘반구대암각화, 울산암각화박물관’ 쪽으로 들어선다.
박물관에서 암각화와 각석에 대해 공부를 하고, 대곡천을 따라 20분 정도 걸어서 천전리 각석에 도착하는 게
천전리 각석을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박물관의 메인 테마는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이지만,
천전리 각석의 실물 크기의 모형도 전시되어 있어 볼 만하다.
실제로 천전리 각석은 접근에 한계가 있으니 특별히 암각화의 문양에 관심이 있다면,
박물관에 꼭 들러 천전리 각석의 모형을 꼼꼼히 살피고 가면 좋다.
천전리 각석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각화다.
천전리 각석을 발견함으로써 대한민국에 ‘암각화’라는 연구 분야가 개척되었다.
1970년 12월 24일 동국대학교 박물관 조사단이 원효대사가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진 반고사지를 찾기 위해 이곳에 왔다가 마을 주민의 안내로 천전리 각석을 발견했다.
이듬해인 1971년 12월에 천전리 각석에서 2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했다.
주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각석과 암각화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나, 이것이 선사시대와 삼국시대의 유적인지는 알지 못했던 것이다.
호젓한 최고의 봄 산책길
박물관을 나와 대곡천을 건넌다. 다리를 건너 좌측으로 가면 천전리 각석, 우측으로 가면 반구대암각화다.
천전리 각석 방향으로 길을 잡으니 대곡천을 내려다보며 호젓하게 걸을 수 있는 명품 산책로가 방문객을 맞는다.
졸졸졸 물소리와 제 짝을 찾는 새소리, 어미를 찾는 새끼 염소 소리가 최고의 음향을 제공한다.
대곡천 산책로에는 곳곳에 보물이 숨어 있다. 따사로운 봄볕을 받으며 걷는 것 자체가 대자연의 선물이고,
무채색의 산책로에 연보랏빛 진달래와 노란 산수유, 푸르른 대나무가 봄의 색을 한껏 뽐내고 있다.
박물관 앞에는 매화와 홍매, 성급한 목련이 꽃망울을 터뜨렸다.
천전리 각석으로 가는 길은 산책로 종합선물 세트와 같다.
대곡천을 건너 각석 앞에 선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상단의 동심원과 마름모꼴의 암각화다.
천전리 각석은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상단에는 동물 그림과 동심원, 마름모, 나선형 등 선사시대 암각화가 그려져 있다.
하단에는 신라시대의 세선화와 300여 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 중에는 문첨랑,
영랑, 법민랑 등 신라 화랑들의 이름이 눈에 띈다. 신라 진흥왕(534~576) 때 창설된 화랑도는 대개
15~18세의 청소년으로 구성되었다. 화랑들은 경주 남산을 비롯해 금강산, 지리산, 천전리 계곡 등과 같은 명승지를
찾아다니면서 심신을 수양하고 단련했다. 천전리 각석에 새겨진 화랑의 이름 중 ‘법민랑(法民郞)’이
바로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문무왕의 화랑 시절 이름이다. 천전리 계곡이 신라 서라벌 귀족과 화랑이 즐겨 찾던 명소이자 수련지였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