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의 만남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매력

아시아 문화의 만남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매력

아시아 문화의 만남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매력

아시아 문화의 만남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매력

인천 앞바다 섬 풍경이 한눈에 소무의도 무의바다누리길

광주에 아시아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대규모 공간이 탄생했다.

한국 민주화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옛 전라남도청사 뒤편에 자리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다.

‘아시아’와 ‘문화’라는 큰 주제로 전시, 공연, 연구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흥미로운 볼거리가 많아 5개원과 주변을 산책하려면 시간을 넉넉히 잡고 방문해야 한다.

역사적 장소를 향한 경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연면적은 16만 1,237㎡로 국내 문화 공간 중 가장 넓다.

위압적인 모습의 초고층 빌딩이 떠오르겠지만 아시아문화전당은 주변 풍경을 거스르지 않으며 자리했다.

옛 전남도청사 뒤로 땅을 파고 건물을 지었기 때문이다.

중앙광장에 해당하는 아시아문화광장에 서면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민주평화교류원 등이 자연스럽게 관람객을 감싼다.

옛 전남도청사를 보기 위해선 시선을 위로 올려야 하는데, 역사적 장소를 향해 자연스럽게 경의를 표하는 관람의 형태가 되는 점도 독특하다.

아시아문화전당의 건물들은 땅을 파고 세웠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실내가 매우 밝다.

건축 설계 공모에 당선된 우규승 건축가가 정한 ‘빛의 숲’이라는 콘셉트 덕분이다.

건물 옥상과 광장 쪽 외벽은 거의 창문으로 가득 찼다. 자연광이 물 흐르듯 들어가 실내를 밝힌다.

관람객은 답답함을 전혀 느끼지 않으며 머물거나 이동이 가능하다.

실내외의 경계를 허물어 건물 내부가 훨씬 넓게 느껴지는 효과도 있다. 넓은 창을 통해 언제든 바깥 풍경을 조망하는 것도 가능하다.

민주평화교류원에서 시작하는 아시아문화전당 투어

아시아문화전당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넓은 면적과 규모에 조금 당황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어디를 먼저 갈지 오래 고민할 필요는 없다.

민주평화교류원을 시작으로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예술극장, 문화창조원 순서로 둘러보고 마지막에 하늘마당으로 향하면 된다.

하늘마당에서 출발하면 옥상 공원 전체를 둘러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곳은 새로운 시작점 구실을 한다.

시간이 부족하다면 관심 있는 건물 내부만 둘러보거나 외부 산책만 즐기는 것도 좋다.

민주평화교류원은 옛 전남도청사를 리모델링해 활용했다.

건물의 역사성과 가치를 살리기 위해 5.18민주평화기념관과 문화교류지원실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5.18민주평화기념관에는 민주, 인권, 평화와 관련한 예술 콘텐츠가 채워질 것이다. 민주평화교류원은 2015년 11월 말 개관할 예정이다.

민주평화교류원에서 나오면 아시아문화광장이다. 광장 중앙에 서면 비로소 아시아문화전당 전체를 볼 수 있다.

땅을 파고 세운 건물들이지만 답답하거나 갇혀 있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관람객이 서 있는 위치상 주변 건물이 잘 보이지 않아 공간에 더욱 집중하게 만드는 효과도 있다.

어린이문화원은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이를 위해 어린이체험관, 어린이도서관, 어린이극장, 어린이창작실험실 등을 운영 중이다.

어린이문화원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문자도로 내 이름 꾸미기’, ‘그림책 빛그림 감상하고 메모꽂이 만들기’,

‘투명한 그림책 만들기’ 등의 교육 프로그램과 베이비 드라마 <달> 등의 공연을 개최해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