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위한 숲 속의 휴식처 유리트리트
당신을 위한 숲 속의 휴식처 유리트리트
강원도 홍천군 대곡리, 하천이 넓고 언덕이 높은 동네에 곽희수 건축가가 설계한 스테이 유리트리트가 있다.
도심 속 일상에서 벗어나 온전히 자신만의 휴식을 보낼 수 있는 장소를 위해 건축가는 깊은 골짜기에서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정자를 떠올렸다.
이렇게 설계된 유리트리트는 한국건축문화대상, 건축가협회상, 대통령상 등 많은 건축상을 휩쓸었고 지역의 명소가 되었다.
정성스레 깎아낸 단단한 조각들처럼
조각은 하나의 큰 바위를 깎아내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큰 구조를 완성한 이후,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횟수로 돌을 깎아 최종의 형태를 만들어 낸다.
원래 하나의 바위였기 때문에 다른 재료가 추가되는 일은 없다.
속이 꽉 찬 단단한 조각은 조각가의 몇천 번, 몇만 번의 두드림을 보는 사람에게 전달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노력이 쌓여 하나의 작품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유리트리트의 건물은 마치 콘크리트로 조각된 작품을 보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 완성되는 방식이 전혀 다르지만 유리트리트의 건물은 조각과 다름없는 감동을 보는 사람에게 전해준다.
이런 느낌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콘크리트 건물은 사실, 가열한 액체를 형틀에 부어 그 형태를 굳혀 완성하는 주물에 더 가깝다.
목재 합판 또는 금속으로 만든 거푸집을 건물 모양에 따라 단단히 결합하고,
거기에 액체 상태의 콘크리트를 부어 며칠 동안 단단해지기를 기다린다.
건물은 우리 생각보다 거대하기 때문에 일정 높이만큼 나누어 콘크리트를 부어야 한다. 한 번에 완성되지 않는다.
다양한 각도로 자유롭게 뻗어있는 벽과 지붕은 유리트리트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하나의 조각처럼 느껴지게 한다.
지붕은 하늘을 향해 뻗어있고, 벽은 경사를 따라 사선으로 올라간다.
콘크리트의 특성상 서로 다른 재료와 재료가 만나면서 만들어지는 경계선이 모두 생략되어, 건물은 매끈하게 한 덩어리로 보인다.
우리에게 보이는 것은 회색의 단단한 콘크리트와 그 사이를 투영하고 있는 유리뿐이다.
형태의 자유로움은 물론, 이런 재료의 간결함이 유리트리트를 조각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은 아닐까.
자유로운 형태로 얽혀 절경을 향해 뻗어나가는
크게 세 개의 숙소동으로 이루어진 유리트리트는 건물과 건물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긴밀하게 엮여 있다.
건물에서 뻗어 나온 벽들은 건물 사이를 유기적인 형태로 잇는다.
여행자들은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된 건물과 건물 사이를 콘크리트 벽의 안내에 따라 의도된 동선으로 탐험한다.
콘크리트 벽을 지나 방향을 바꾸면 어떤 공간이 펼쳐질지 쉽게 예상하기 어렵다.
총 9개의 객실이 있는 유리트리트는 두세 개의 객실이 하나의 건물을 이루고 있는데, 이 객실 모두 맞은편 계곡을 향해 긴 목을 쭉 빼고 있다.
2층의 객실은 캔틸레버 구조(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로 계곡과 숲 방향으로 기둥 없이 띄워져 있어,
건물이 마치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모습은 보는 사람들에게 중력을 거스르는 듯한 신기한 쾌감을 선사한다.
객실 안에서는 큰 창을 통해 계곡 건너편의 빼곡한 숲을 마주할 수 있다.
소리산 줄기, 사리골 계곡이라고 불리는 해발 100미터의 수직 절벽은 객실 바로 앞에 자리하고 있다.
절벽을 가득 채운 나무들이 만들어 낸 풍광은 객실 가장 깊은 곳까지 고스란히 전달된다.
바람에 따라 흩날리고 계절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수직의 숲 풍경은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객실을 가득 채운다.
이 풍경을 위해 건축가는 숲에 더 다가가려 했던 것이 아닐까.
공간과 공간을 구분 짓기 위해 유리트리트는 높낮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가운데의 마당에서 객실로 가기 위해서는 낮은 언덕을 오르듯 계단을 거쳐야 한다.
유리트리트의 건물들은 주변 지형에 따라 다른 높이에 지어져 있어, 9개의 객실은 모두 다른 높이에 있다.
각각의 객실은 다른 방향을 향해 다른 개수의 계단을 올라야만 입장할 수 있다.
어떤 객실에 묵느냐에 따라 다른 높이에서 바깥을 바라보게 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