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 가득한 대안공간으로의 변신: 대인예술시장

상상력 가득한 대안공간으로의 변신: 대인예술시장

활기 잃은 재래시장이 예술가들의 손길로 상상력 넘치는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상점 셔터에 그림이 그려지고, 문 닫은 점포에는 공방이 들어서면서 좁은 골목이 예술가들의 작업실과 갤러리로 채워졌습니다.

대인예술시장은 1959년 5월 공설시장으로 문을 연 이래 40년 가까이 번성했으나, 시외버스터미널과 광주시청 이전으로 인해 쇠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대형마트의 등장으로 상점들이 문을 닫고 인적이 줄었지만, 상인들은 여전히 시장을 삶의 중심으로 지켜왔습니다.

최근 예술가들이 시장의 빈 공간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 광주비엔날레 '복덕방프로젝트' 덕분에 400여 명의 상인과 100여 명의 예술가가 함께하며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인적이 적었던 공간에 작가들의 손길이 닿으면서 정기적인 예술야시장이 열리고, 갤러리가 생겼습니다.

작가의 손길이 더한 시장의 새 모습

시장의 빈 벽에 야구선수와 역도선수 장미란이 그려졌고, 돼지머릿고기를 팔던 가게 문에는 귀여운 돼지인형이 더해졌습니다. 리어카 행상을 하던 하문순 씨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벽화로 유명해졌습니다. 그는 5·18 당시 시장 사람들이 주먹밥을 전달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상인들도 스스로 변화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상인들이 나타났고, 건어물 가게 옆에 골동품점을 연 사장님도 있습니다. 이 가게는 기증받은 물건을 팔아 불우이웃을 돕는 '장깡'으로 운영되며, 도움 내역을 공개적으로 기록합니다. 작은 도자기와 생활소품이 정성스럽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시장 전체를 대안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노력도 이어집니다. '한 평 갤러리'는 젊은 작가들에게 전시 기회를 제공하며 매달 작품이 바뀝니다. 작업실이 밀집한 골목의 '미테-우그로'는 작가들의 쉼터인 카페와 갤러리, 레지던스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시장통 중심에는 여행자와 상인들을 위한 도서관이 자리 잡았고, 지친 다리를 쉬며 음료를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다다익선'은 상인들에게 공구를 대여해주고 안내 역할을 하며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대인예술시장은 경제적 공간에서 소통과 문화의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