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의 흔적들 광주 전일빌딩245
518민주화운동의 흔적들: 광주 전일빌딩245
광주는 한국 민주화 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으로, 1980년 5월 전국 비상계엄 확대 속에서 시민과 학생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신군부세력이 군대를 투입해 진압하면서 많은 시민과 학생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었으며, 특히 옛 전남도청사와 분수대 주변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에 광주의 여러 건물과 시설물에 남은 흔적들은 현재 5·18민주화운동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전일빌딩245도 그중 하나로, '245'는 헬리콥터에서 건물을 향한 사격 횟수를 나타냅니다.
한때 지역 언론사, 방송국, 도서관이 위치했던 이 빌딩은 세월이 흐르며 쇠퇴해 2011년에 매매되었으나, 5·18민주화운동 당시의 탄흔이 발견되면서 주차장 계획이 취소되었습니다.
탄흔 발견과 조사 과정
건물 곳곳에서 발견된 다수의 탄흔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조사를 의뢰한 결과, 245개의 탄환이 헬리콥터 등 비행체에서 발사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건물은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는 공간으로 리모델링되었으며, 이름에 '245'가 추가되었습니다.
2019년 전두환 사자명예훼손 재판 중 추가 조사에서 25개의 탄흔이 더 발견되어, 현재 총 270개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탄흔은 건물 외벽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5·18민주광장의 '민주의 종' 지붕 너머에서 여러 자국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공중에서 사격이 이뤄졌음을 시사합니다.
전일빌딩245 실내 탐방
실내로 들어가면 총탄 흔적을 가까이에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지상 10층과 지하 1층 중 5~7층은 광주콘텐츠허브로 사용 중이지만, 나머지 층은 전시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관람은 옥상 '전일마루'부터 시작해 층별로 내려오며 진행됩니다. 옥상에서 무등산까지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건물의 핵심인 10층과 9층의 '19800518' 전시관에서는 정영창 작가의 <검은 하늘 그날:전일빌딩>과 이혜경 작가의 <민주의 탄환> 등 작품이 전시되어, 5·18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