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익는마을 구수한 우리 콩 이야기
장익는마을 구수한 우리 콩 이야기
20년 세월이 녹아든 장 이야기
한식에서 장은 기본 중의 기본으로, 대다수 음식에 사용되며 장 하나만으로도 밥 한 그릇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보통 간장을 떠올리지만, 된장, 고추장, 막장, 집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장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만들어 먹었으며 예전에는 집집마다 직접 담가 음식 솜씨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습니다. 장맛은 각 가정의 사연을 담아 독특하며, 장익는마을의 20년 장맛에도 특별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대강면 방곡리에 터를 잡은 시작은 생계 어려움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여자 혼자 자식 셋을 키우며 할 수 있는 일로 메주를 만들어 팔기로 결심했습니다. 처음에는 마당에 가마솥 하나로 모든 과정을 손수 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메주뿐만 아니라 모든 장 종류를 담그는 규모로 커졌고, 마당에 1000개 넘는 항아리가 자리 잡았습니다. 1대 주인은 장성한 아들과 며느리에게 사업을 넘기며, 여전히 항아리를 돌보는 모습을 보입니다.
장의 기본 재료인 메주와 콩 재배
메주는 콩으로 만들며, 장익는마을 앞의 넓은 들판이 모두 콩밭입니다. 마을 주민이 키운 콩이 이곳에서 사용되어 가족 생계뿐만 아니라 마을 경제를 돕습니다.
가을이면 콩을 수확해 낫으로 자른 줄기를 바싹 말린 후 타작합니다. 이는 1년 내내 만드는 장의 핵심 재료 준비 과정입니다. 이 장의 특별함은 현지에서 재배한 우리 콩을 사용하고, 화학 재료 없이 전통 방식으로 항아리에 담가 완성된다는 점입니다.
사업 확대로 인해 콩 삶기와 메주 만들기는 기계를 도입했지만, 메주 숙성실, 발효실, 항아리 담그기는 여전히 전통을 유지합니다. 이곳에서 고추장, 된장, 간장, 쌈장 등을 생산하며, 이듬해를 위한 준비도 진행합니다.
특히 담북장은 입춘 전후에 먹던 별미로, 주먹만 한 메주를 3일 햇볕에 말린 후 찧어서 소금물과 다진 마늘, 파, 고추를 넣어 10일 숙성합니다. 이 작은 메주 체험은 인기가 높아 별도 예약으로 진행됩니다. 시기에 따라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세요.
고추장이나 된장 담그기 프로그램은 인원에 따라 장소가 달라집니다. 20명 이상의 단체는 방곡도깨비마을에서 시골밥상 식사와 함께 체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