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최참판댁 처녀귀신 아랑과 꽃미남 사또 은오의 사랑 이야기
하동 최참판댁 처녀귀신 아랑과 꽃미남 사또 은오의 사랑 이야기
남도 500리 길(212.3km)을 나그네처럼 유유히 흐르는 섬진강.
어느 강보다 서정적인 섬진강을 따라 천방지축 처녀귀신과 꽃미남 사또의 사랑이 피어오른다.
사랑의 장소는 지리산 자락과 섬진강이 품어낸 악양면 평사리의 최참판댁이다.
드라마 <아랑사또전>에서 최 대감(김용건 분) 댁으로 나오면서 아랑(신민아 분)과 은오(이준기 분)가 알콩달콩 정을 쌓아가는 데 일조한 촬영지다.
아랑과 은오가 기와 담장으로 주왈(연우진 분) 도령을 넘겨보던 연못과 아담한 건물은 최참판댁의 별당이고, 귀신들이 넘어가지 못한 긴 담도 최참판댁의 담장이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널리 알려진 이곳은 최근 <아랑사또전>의 인기에 힘입어 아랑의 흔적을 찾는 여행객의 발걸음이 잦다.
이름 아침 <아랑사또전>의 촬영지인 하동군 악양면의 최참판댁을 찾아가는 길.
지리산 형제봉과 구재봉 줄기가 두 팔을 활짝 벌려 포근히 감싸고 있는 들판과 만난다.
안개가 내려앉은 들에는 아침 햇살이 가득하고, 들 한가운데에는 부부송이라 불리는 멋진 소나무 두 그루가 가장 먼저 여행객을 맞는다.
부부송은 오랜 세월을 지켜온 두 그루의 소나무로 악양들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산중에서 만난 평야는 품이 넉넉하다. 농부들에게는 풍성한 수확을 안겨주었고, 나그네에게는 지극히 한국적인 풍경을 선물한다.
그리고 만석지기 최 참판을 탄생시켰다. 최 참판은 우리나라 대하소설의 백미로 꼽히는 박경리의 《토지》에 등장하는 중심인물이다.
외둔마을을 지나 상평마을 고샅길로 들어서면 앙증맞은 돌담이 정겹게 놓여 있다.
땅만 파면 나오는 것이 돌이기에 그저 되는 대로 올려놓은 게 돌담이고, 그 위로 담쟁이가 힘차게 뻗어가고 있다.
담장 너머엔 까치밥으로 남겨둔 감이 고개를 떨구지 않고 나무에 매달렸다.
마을길 옆으로 드라마 <토지>를 촬영할 때 조성한 세트장이 있다.
무당의 딸 공월선, 투기심이 강한 강청댁, 재물에 집착하는 임이네 등 서민들이 모여 살던 초가 그대로다.
초가마다 극중 인물의 사진과 이름이 붙어 있고 극중 대사까지 적혀 있어 드라마의 한 장면을 보는 듯 생생한 느낌이 든다.
돌담길을 거닐며 한적함에 젖어 있노라면 초가 뒤편 모퉁이에서 문득 토지의 등장인물인 최치수,
서희, 김환, 별당 아씨, 조준구, 길상, 공 노인 등이 불쑥 나타날 것만 같은 분위기에 감싸인다.
최참판댁은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자리했다. 한눈에 보아도 예사롭지 않은 위치다.
악양들의 풍요로움이 한눈에 들어오고, 멀리 섬진강의 속살까지 샅샅이 내려다보인다.
집 뒤로는 대숲이 울창하고 형제봉의 든든한 산세가 병풍이 된다.
최참판댁은 <아랑사또전>에서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중요한 장소다.
극중 최 대감댁으로 나오는데, 아랑의 억울한 죽음과 이를 파헤치는 은오의 활약이 이곳에서 펼쳐지기 때문이다.
때론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가 엉켜 있는 묘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랑사또전>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 드라마를 시청한 여행자들만이 기억을 더듬어 흔적을 찾을 수 있을 뿐이다.
어디에도 <아랑사또전>과 최참판댁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안내 문구가 없는 탓이다.
아직도 최참판댁의 기억을 지배하는 것은 1987년부터 3년 동안 방영된 드라마 <토지>다.
소설 《토지》는 박경리 선생이 1969년 《현대문학》에 연재를 시작한 이래 26년에 걸쳐 전 5부 16권으로 완간된 대하소설의 금자탑이다.
이야기의 중심은 구한말부터 8·15 광복까지. 우리 근대사의 혼란과 그 속에 깃든 인간의 애환을
악양들의 만석지기 최참판댁의 마지막 당주인 최치수와 그의 고명딸 서희의 삶을 따라가며 그려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