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북녘땅과의 조용한 대화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북녘땅과의 조용한 대화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북녘땅과의 조용한 대화
역사의 흔적을 간직한 까치발 건물 철암탄광역사촌 탐방기
한강과 임진강이 서해를 향해 한데 어우러지는 마지막 물줄기, 조강 유역에 자리 잡은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은 한국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입니다.
민통선 검문소를 통과한 뒤 1km를 더 달려야 닿을 수 있는, 국토의 서북 끝자락에 위치한 이곳은 북한 땅이 한눈에 들어오는 언덕 위에 있습니다.
2021년, 오래된 애기봉 전망대가 현대적으로 재탄생하며 평화와 생태, 그리고 미래를 테마로 한 생태공원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조강이라는 이름이 어쩐지 낯설게 느껴지지 않으셨나요? 대부분 한강 하구로만 알고 있을 이 강줄기에는 실은 특별한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조강은 임진강과 한강이 관산포 인근에서 합류해 서해로 흘러가는 마지막 구간을 뜻합니다.
과거 고려와 조선 시기에는 서울과 개성 사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수로 역할을 했으며, 수많은 조운선이 지나던 길목이었습니다.
하지만 1953년 6.25 정전협정문 작성 시 '조강' 대신 '한강 하구'라는 표현이 사용되면서 그 이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애기봉이라는 이름에도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원래 이곳은 ‘쑥갓머리산’이라고 불렸지만,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끌려간 평안감사를 그리다
죽었다는 애기라는 기생의 전설이 전해지며 '애기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1966년, 박정희 전 대통령은 애기의 슬픔을 이산가족의 아픔에 비유하며 자신의 휘호를 새긴 비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한편, 애기봉은 크리스마스트리로도 유명합니다. 1953년, 한 병사가 평화를 기원하며
소나무에 전구를 달아 밝힌 것이 계기가 되어, 1971년부터는 높이 18m 철탑에 전등을 장식하며 연말 분위기를 자아냈습니다.
지금은 그 철탑이 철거되었지만, 이를 모티브 삼아 설계된 지그재그 산책로는 멀리서도 크리스마스트리의 따스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합니다.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을 방문하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곳은 평화생태전시관입니다.
이 전시관은 크게 평화, 생태, 미래라는 세 가지 주제로 꾸며져 있습니다.
첫 번째 공간인 '평화' 섹션에서는 거대한 통창 너머로 조강 하구와 우도, 그리고 개풍군 일부 모습을 바로 눈앞에서 마주할 수 있습니다.
창에는 어린아이의 시선에 맞춰 바깥 풍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이 곁들여져 있습니다.
두 번째 공간 '생태'에서는 조강 유역의 자연환경과 생물다양성을 집중 조명합니다.
6.25 이후 중립수역으로 지정된 조강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덕분에 약 116종의 새들과 삵, 모새달 같은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천장에서 길게 늘어진 LED 큐브를 활용한 디스플레이는 조강 일대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을 형형색색의 빛으로 표현해 놀라움을 자아냅니다.
세 번째 공간 '미래'에서는 사방을 둘러싼 360도 영상과 미디어 아트를 통해 애기봉 공원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강렬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