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발자취 남양주 여유당 탐방

정약용의 발자취 남양주 여유당 탐방

정약용의 발자취 남양주 여유당 탐방

정약용의 발자취 남양주 여유당 탐방

조안면의 숨겨진 보물 다산유적지와 생태공원

다산 정약용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의 풍경 속에서 자신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그가 유배지에서 돌아오고 나서 여생을 보낸 여유당은 그의 숨결이 아로새겨진 곳으로 유명합니다.

외견상 특별해 보이지 않는 이 한옥, 그러나 다산의 처음과 끝이 깃든 곳이라 생각하면 그 의미는 대단히 깊어집니다.

정약용은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적인 인물로, 조선을 대표하는 실학자로 역사에 남았습니다.

그는 500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며 정치, 과학, 경제, 의학,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정조가 수원 화성을 축성할 때는 거중기와 녹로 같은 창의적인 기구를 설계해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백성들의 노고를 덜어주었습니다.

1800년, 정조의 서거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정약용은 사랑채에 여유당 현판을 걸었습니다.

여유당이라는 이름은 조심하고 경계하며 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도덕경의 “망설이며 겨울에 살얼음판 건너듯 조심하고, 겁내기를 사방을 경계하듯 신중하라”는 문구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산은 그 이듬해부터 18년간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1818년에 여유당으로 돌아와 목민심서와 흠흠신서 등의 책을 정리했습니다.

정약용 유적지에 자리한 여유당은 그가 실제로 살던 집이 아닙니다.

1925년 대홍수로 원래의 집이 파괴된 후 1986년에 복원되었습니다.

원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복원된 이 집은 당대 사진과 후손들의 기억을 바탕으로 재현되었습니다.

여유당은 사랑채와 안채로 구성되며, 다산의 성품을 닮아 소박한 느낌을 줍니다.

정약용은 인간적으로도 훌륭한 면모를 지녔습니다.

유배지에서 그는 아들과 딸에게 편지를 보냈으며, 부인이 보낸 치마를 잘라 두 아들에게 당부의 말을 전하고 딸에게 줄 그림도 그렸습니다.

여유당에서 혼인 60주년 기념 행사를 기대했으나, 안타깝게도 회혼례 날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에 남긴 시는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습니다.

남양주시는 그의 회혼례를 기리기 위해 60주년 기념 행사를 여유당에서 재현하고 있습니다.

여유당 뒤 언덕에는 다산과 부인이 합장된 묘가 있으며, 언덕 아래에는 그가 회갑 당시 삶을 돌이켜 쓰여진 묘지명이 있습니다.

그는 사암이라는 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풀이나 짚으로 덮인 작은 집에서 세월을 기다린다는 의미로, 자신의 학문적 성취가 후대에 인정받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정약용 유적지에는 여유당 외에도 그의 업적을 전시한 기념관과 현대적으로 재조명한 문화관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선생의 영정과 위패는 문도사에 모셔져 있으며, 이는 다산의 사상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습니다.

유적지를 방문할 때 배우 정해인이 녹음한 오디오 가이드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운영 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고 입장료는 없습니다.

정약용 유적지 맞은편에는 조선 후기 실학의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는 실학박물관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다채로운 디지털 전시와 흥미로운 기획전시는 물론, 제3전시실의 대형 LED 화면에서는 1787: 스페이스 오디세이 영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실학박물관에서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있는 다산생태공원은 한강을 내려다보며 사색하기 좋은 장소입니다.

이곳에서는 다산의 업적을 소개하는 표지판과 다양한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