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가 스치는 울산 바다 일도 즐기고 여행도 즐기고

고래가 스치는 울산 바다 일도 즐기고 여행도 즐기고

고래가 스치는 울산 바다 일도 즐기고 여행도 즐기고

고래가 스치는 울산 바다 일도 즐기고 여행도 즐기고

힘Up 맛Up 횡성의 보양 탐방길

울산은 우리나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산업도시로, 비즈니스맨들이 자주 찾는 곳입니다.

도시, 산업단지, 바다가 서로 인접해 있어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풍경을 선사합니다.

그래서 울산은 일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워케이션(Workation)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예전 고래잡이에 번성했던 마을에서는 그 시절의 추억을 재현한 거리도 만날 수 있습니다.

대왕암공원에서는 고래가 노니던 넓은 동해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방파제에 위치한 알록달록한 카페와 등대는 낭만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장생포항은 과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래잡이 기지였습니다.

포경이 금지된 이후에는 고래문화마을, 장생포고래박물관, 고래생태체험관 등이 들어서면서 ‘장생포 고래문화특구’로 지정되어 고래를 주제로 한 관광 명소로 변모했습니다.

장생포에서의 고래잡이는 100여 년 전 러시아가 태평양에서 잡은 고래를 해체하기 위해 장생포를 지정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70년대부터 상업 포경이 금지된 1986년 이전까지가 장생포의 포경산업 황금기였습니다.

고래문화마을에서는 그 활기 넘치던 시절의 장생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은 널찍한 공원으로 꾸며져 있으며, 공원 중심에는 고래광장과 고래조각공원이 위치해 있습니다.

주변에는 선사시대고래마당, 수국정원, 옛 장생포마을, 무궁화동산, 그리고 5D입체영상관 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옛 장생포마을은 고래잡이산업이 활발했던 시절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습니다.

약 20개의 건물과 조형물들이 당시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합니다.

도시락이 놓인 난로와 작은 책걸상이 있는 장생포국민학교는 물론, 거리에서 고무줄놀이를 하는 아이들의 조형물도 보입니다.

서점, 사진관, 구멍가게에는 그 시절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마을 한쪽에는 고래 해체장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고래박물관에 들어가면 1층에는 특별 전시회가 열리는 기획 전시실과 상설 전시실에서 ‘장생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박물관 관람 순서는 1층부터 3층을 거쳐 2층으로 이어집니다.

3층에서는 참고래와 북방혹고래의 수염 진품, 고래 뼈 모형, 귀신고래에 대한 설명 및 전시물 등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3층 전망대에서는 바다 풍경이 펼쳐집니다.

이곳 바다는 멸종위기종인 귀신고래가 새끼를 낳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 중 하나로,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이 천연기념물 제12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층에는 일본 와카야마현 다이찌 앞바다에서 포획된 범고래의 뼈가 전시되고 있습니다.

박물관 옆에는 우리나라 마지막 포경선 ‘제6진양호’가 원형대로 복원되어 있으며, 내부 관람도 가능합니다.

고래생태체험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돌고래 수족관으로, 입문하자마자 해저쉼터에서 네 마리 큰돌고래의 생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거대한 고래 해저터널을 통과하면 돌고래들이 머리 위로 유유히 헤엄치는 모습을 만날 수 있습니다.

2층의 돌고래 공연장은 돌고래들이 다양한 재주를 보여주는 곳이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잠시 공연이 중단되었습니다.

대신 4D 영상관에서는 내용에 따라 의자가 움직이며 영화를 볼 수 있어 흥미롭습니다. 장생포관에서는 1970~80년대 장생포의 일상 생활을 디오라마로 생생하게 재현합니다.